23장
고용과 실업에 대한 이야기
23장 1절
고용 된 것은 자신이 배운 것을 통해서 한 나라 경제에 보탬을 하는 것. 가족을 부양하는 수단. 사회와 나라에 기여한다는 자긍심을 가질 수 있다. 실업을 겪게 되면 개인적으로 소득이 줄게 된다. 일자리가 없어지면 소득이 들어오지 않게 되므로 소득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 동안 쌓았던 직무 지식을 놓치게 된다. 현장 노동자의 경우 일을 하지 않게 되므로 능력이 떨어진다. 실업을 하게 되면 스스로 자기 자신의 효능감이 떨어지게 된다. 효능감이 떨어지면 사회 활동도 줄게 된다. 우선 소득이 없어서 외식을 하기 쉽지 않아지고, 다른 사람들과 만나는 것을 꺼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실업이 있다는 것은 인적 자본이 만기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사회 전체의 생산량이 감소하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실업이 발생하게 되면 개인적인 차원, 사회적인 차원에서 어떤 문제들이 발생하는지를 얘기했다. 실업이 어두운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도 있을 수 있다. 일자리를 스스로 그만 두면 실업 기간 동안에 새로운 기술을 익히거나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미래를 위한 다른 준비를 통해서 오히려 부가가치를 높힐 수 있는 일들을 할 수 있다. 실업 상태가 된다는 것은 손실도 있지만 재분배 되는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잠재적인 노동자들을 분류하는 방법.
경제 노동자 (Potential Workers).
제외되는 경우는 16세 이하의 시민이며 군인, 시설 수용자가 있다. 시설 수용자에는 환자, 죄수가 있다. 환자의 경우 신체적인 장애가 어려움이 있어서 환자일 수 도 있고 정신적인 문제로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다. 죄수의 경우에도 행동에 제약이 발생한다.
취업자
고용되어 있는 취업자는 법적 노동 시간 만큼 가득 일하는 사람이 있고 부분 노동을 하는 사람을 나눌 수 있다.
실업자
1. 지난 4주 동안 일자리를 찾았지만 현재 일자리가 없는 사람
Not in the Labor Force 노동력 제외자
: 1. 현재 일자리가 없고 2. 일자리를 찾지 않는 사람
은퇴자, 가사 노동자, 학생
노동력
취업자와 실업자를 단순하게 합한 것을 의미한다.
실업률
실업자를 노동력으로 나눈 것이다. (취업자 + 실업자) / 노동력 * 100
노동력 참여율
노동력 / 잠재 노동자 로 계산을 한다. 노동력 = 취업자 + 실업자,
실업 관련 기술적 개념 중, 실망 노동자라는 개념이 있다. Discouraged Workers
일자리를 원하지만 구직 활동을 포기한 사람이라고 한다. 이런 사람들은 실업자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력 제외자에 속한다. 실업자는 일자리를 원해서 지는 4주 동안 구직 활동을 한 사람인데 실망 노동자는 일자리를 원하지만 구직 활동을 포기한 사람을 의미한다. 이런 사람들은 실업자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취업자이긴 하지만 더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 없는 사람. 저고용 노동자 라고 부른다
장애우 중에서도 현재 일자리가 있지만
마찰적 실업 MisMatch
구직자와 구직자를 찾는 기업 사이의 구조화 문제로 발생한 실업을 의미한다.
구조적 실업
노동 시장에는 노동 조합이 존재하면서 임금 인상 협상을 강조하게 된다. 노동 조합의 힘이 세서 높은 임금으로 측정하게 되면 사람을 더 많이 고용할 수 없게 된다. 실업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효율성 임금으로 구조적 실업이 발생할 수 있다. 삼성 전자의 사례로 높은 임금을 주는 경우를 살펴보자. 당근 효과. 사람들이 일을 열심히 하게 된다. 열심히 일해서 보답해야 겠다고 하게 된다. 채찍 효과.
마찰적 실업 + 구조적 실업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호황이라고 하더라도 3~4%의 실업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자연적 실업
마찰적 실업 + 구조적 실업
23장 2절 노동 시장의 균형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노동의 한계 생산물이 시장에 팔려나갔을 때 돌아오는 총 가치를 한계 노동 생산물 가치라고 부른다. 기업에 들어오는 수입이다. 그 만큼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서 임금이 필요하다. 임금과 노동 생산물 가치가 일치가 되는 부분에서 고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노동에 대한 수요는 한계 생산물 가치만큼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한계 생산물 가치가 노동에 대한 수요 곡선이 된다.
제품에 대한 기호가 변했을 때 노동 곡선이 우향, 좌향 이동한다.
기술이 변하는 경우 노동에 대한 수요가 바뀌기도 한다.
투입의 가격이 높아지게 되면 노동 수요가 늘어나기도 하고 줄어들 수도 있다.
한 나라의 총 노동 수요는 개별 기업의 노동 수요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노동 공급은 노동 조합이 결정한다. 노동자의 최적 행동에서 노동
노동 공급 곡선을 이동 시키는 원인
선호가 변화되었을 때, 기회 비용의 변화, 인구 구선의 변화
'🚐 Subject Study > 🟨 Introduction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입문 14주차 월요일 (0) | 2022.05.30 |
---|---|
경제학 입문 13주차 목요일 (0) | 2022.05.26 |
경제학입문 13주차 월요일 (0) | 2022.05.23 |
경제학 입문 12주차 목요일 (0) | 2022.05.19 |
경제학 입문 12주차 월요일 (0) | 2022.05.16 |